facebook script
이전페이지 학사학위전공심화과정|과정소개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이란?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은 전문대학 졸업생의 직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지도자급 산업인력으로 양성하기 위한 교육제도로서, 학사학위 취득을 원하는 전문대학 졸업자들이 전문대학에 개설된 전공심화과정에 입학하여 60학점(2년제) 또는 20학점(1년제), (총130학점)이상을 이수하면 4년제 일반대학과 동일한 학사학위를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안내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구분 일반전형
설치ㆍ운영근거
  • 고등교육법 제40조 및 제50조의 2
  • 시행령 제58조, 제58조의 2
목적
  • work-to-school(일터에서 학교로)를 통해 직업심화교육으로 이론과 실무능력을 갖춘 기술전문인력을 양성함
학업경로
  • 전문대학 졸업 → 전공심화과정 이수(1년,2년) → 학사학위 취득(총장명의)

모집학과 및 정원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모집학과 및 인원
학부 모집학과 수업연한 주ㆍ야 모집정원
K-컬쳐 K-외식조리학과 2년 야간 15명
뷰티학과 2년 야간 15명
사회 경찰범죄심리학과 2년 야간 20명
사회복지학과 2년 야간 25명
기술 미래자동차학과 2년 야간 15명
정밀기계공학과 1년 야간 15명
합계 105명

※ 입학원서 접수결과 최종등록자가 15명 미만인 모집학과는 개설되지 않을 수 있음
※ 2025학년도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기본계획에 의거 모집학과, 모집인원 및 전형일정이 변경될 수 있음

지원 자격

  • 전문대학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로서
  • 교육부 장관이 정하는 관련(동일) 학과를 졸업한 자
    (관련 학과를 졸업하지 않은 경우 출신대학 취득 학점을 통해 교육과정 일치도가 50% 이상인 자 포함)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지원자격
구분 내용
학력 인정 기준
  • 전문대학을 졸업한 자 또는 이와 동등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는 지원 가능
  •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학력 인정 기준
    관련기준 전문대학 졸업자 4년제 대학 수료 및 졸업자
    2년제 3년제 2학년 수료 3학년 수료 졸업자
    1년 과정 지원불가 지원가능 지원불가 지원가능 지원가능
    2년 과정 지원가능 지원가능 지원가능 지원가능 지원가능

    ※ 다만, 2024년 2월 졸업예정자, 수료예정자 또는 학위취득 예정자는 2024년 2월 29일까지 졸업, 수료증명서 또는 학위증명서를 반드시 제출하여야 하며, 미제출시 입학이 취소됨.

관련(동일) 학과
판단 기준
  • 관련학과가 일치할 경우 인정: [붙임1]참조
  • [붙임1]관련 학과에 명시되지 않더라도 학사학위과정 학과의 관련 학점을 통해 교육과정 일치도가 50% 이상인 경우 관련 학과 졸업자로 인정
    ※ 일치여부 인정은 우리 대학의 "전공심화과정 운영위원회"에서 심사하여 결정함
[붙임1]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관련학과 기준표
모집 학과명 관련 학과명
K-외식조리학과 호텔외식조리과, 식품영양조리과, 호텔식품과, 관광호텔조리과, 국제호텔쿠킹과, 식음료조리과, 전통조리과, 조리예술과, 호텔조리과, 식품가공조리과, 푸드스타일리스트과, 관광외식조리과, 제과데코레이션과, 호텔조리영양과, 호텔조리제빵과, 호텔푸드코디네이터과, 바리스타&소믈리에과, 웰빙외식조리과, 국제서양조리과, 국제소믈리에과, 일식조리전공, 제과제빵산업과, 호텔제과제빵과, 식품가공제과제빵 등 유사학과 등
뷰티과 뷰티케어과, 뷰티미용과, 뷰티아트과, 미용피부관리과, 피부미용디자인과, 관광뷰티디자인과, 메이크업코디과, 미용예술과, 뷰티디자인과, 피부비만관리과, 미용계열, 뷰티코디네이션과, 피부보건과, 화장품과학과, 뷰티아트디자인과, 스타일리스트과, 코디메이크업과, 화장품미용과, 미용아트과, 헤어디자인과, 방송메이크업전공, 방송모델과, 방송연예코디과, 뷰티건강복지과, 스킨케어과, 스파테라피과, 의료미용과, 웨딩&이벤트과, 웨딩뷰티패션과, 토탈뷰티디자인과, 패션스타일리스트과 등 유사학과
사회복지학과 가족복지과, 가족사회복지과, 복지경영과, 복지상담과, 복지행정과, 사회복지경영과, 복지상담과, 사회복지비서행정과, 사회복지행정과, 사회복지상담과, 경찰복지과, 아동청소년복지과, 행정복지과, 노인보건복지과, 보건복지계열, 보건사회복지과, 의료복지과, 복지관광과 등 유사학과
경찰범죄심리학과 경찰경호비서과, 경찰경호합기도, 경호경비경영과, 경호경찰과, 경호스포츠과, 경찰경호방호계열, 경호과, 경찰경호의전과, 경찰경호스포츠과, 경호안전전공, 경찰복지계열, 경찰경호행정, 경찰보안과, 경찰군사학부, 경찰소방교정과, 경찰정보과, 사이버경찰행정과, 경찰경호태권도과, 무도경찰행정전공, 경호무도과, 경호보안과, 스포츠경호계열 등 유사학과
정밀기계공학과 금형공학과, 금형설계공학과, 기계·자동차공학과, 기계공학과, 기계설계공학과, 기계설계과, 기계설계학과, 기계설비과, 기계시스템공학과, 기계융복합공학과, 기계정보공학과, 기계제어공학과, 기계제조공학과, 기계조선융합공학과, 나노전자기계공학과, 동력기계시스템공학과, 로봇기계공학과, 바이오산업기계공학과, 산업기계공학과, 산업설비과, 생산기계공학과, 생산기계설계과, 선박해양·기계과, 스마트기계공학과, 융합기계공학과, 융합기계학과, 융합부품공학과, 전자·기계융합공학과, 정밀기계공학과, 컴퓨터응용기계공학과, 컴퓨터응용기계설계과, 플랜트설계과, 플랜트엔지니어링학과, 항공·기계설계학과, 항공부품공학과, 항공제작과 등 기계관련학과
미래자동차학과 기계자동차과, 자동차기계과, 자동차매니저과, 자동차사무관리과, 자동차서비스과, 자동차유지관리과, 차세대자동차과, 기계자동차산업계열, 기계차량계열, 기계자동차공학군,스마트자동차과, 자동차튜닝과, 자동차설계군, 자동차정비군, 자동차전자과, 제철∙자동차계열, 카오디오과 등 유사학과
상단으로 이동